아직 많이 부족한 학생의 정보처리기사 실기를 준비하며 공부하는 내용입니다.
개인 공부 하는 내용이라 틀린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. 만약 틀린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언제든지 알려주세요 🙇♂️🙇♂️
리스트 슬라이싱
🔹 기본 문법
리스트[start:stop:step]
항목설명
start | 시작 인덱스 (포함) |
stop | 끝 인덱스 (불포함) |
step | 몇 칸씩 건너뛸지 |
✅ 예제 리스트
nums = [10, 20, 30, 40, 50, 60]
# 인덱스: 0 1 2 3 4 5
# 인덱스: -6 -5 -4 -3 -2 -1
✂️ 슬라이싱 예제
1. nums[1:4]
- 1번 인덱스부터 4번 전까지 → [20, 30, 40]
2. nums[:3]
- 처음부터 3번 전까지 → [10, 20, 30]
3. nums[3:]
- 3번 인덱스부터 끝까지 → [40, 50, 60]
4. nums[::2]
- 처음부터 끝까지, 2칸씩 → [10, 30, 50]
(짝수 인덱스만 뽑기)
5. nums[1::2]
- 1번부터 끝까지, 2칸씩 → [20, 40, 60]
(홀수 인덱스만 뽑기)
6. nums[::-1]
- 리스트를 뒤집기 → [60, 50, 40, 30, 20, 10]
(step이 음수면 거꾸로 진행해)
🔸 참고 팁
- 슬라이싱은 원본 리스트를 변경하지 않음
- 슬라이싱 결과는 새로운 리스트가 됨
a = [1, 2, 3, 4]
b = a[::-1]
print(b) # [4, 3, 2, 1]
print(a) # [1, 2, 3, 4] (원본 그대로)
리스트 반 나누기
nums = [1, 2, 3, 4, 5, 6]
half = len(nums) // 2
left = nums[:half]
right = nums[half:]
print("Left:", left)
print("Right:", right)
출력 결과
Left: [1, 2, 3]
Right: [4, 5, 6]
짝수/홀수 인덱스 추출
data = ['a', 'b', 'c', 'd', 'e', 'f']
even_indexed = data[::2] # 짝수 인덱스
odd_indexed = data[1::2] # 홀수 인덱스
print("Even:", even_indexed)
print("Odd:", odd_indexed)
출력 결과
Even : [ 'a','c','e']
Odd : ['b','d','f']
리스트 뒤집기
words = ['python', 'is', 'fun']
reversed_words = words[::-1]
print(reversed_words)
출력 결과
['fun','is','python']
리스트 마지막 3개만 가져오기
scores = [88, 92, 79, 93, 85, 91]
last_three = scores[-3:]
print(last_three)
출력 결과
[93,85,91]
문자열 슬라이싱
text = "HELLO WORLD"
print(text[::-1]) # 뒤집기
print(text[::2]) # 두 칸씩
print(text[1::2]) # 한 칸 건너서
출력 결과
DLROW OLLEH
HLOWRD
EL OL
'Qualific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처기] 실기 공부 #2 (0) | 2025.04.18 |
---|---|
[정처기] 실기 공부 #1 (1) | 2025.04.16 |
[SQLD] 정리본 #1 (0) | 2025.03.04 |